다음 논문을 읽고 감상을 남긴다.
이 학회에서 위 논문의 발표를 들을 수 있었는데, 들었던 발표중 가장 기억에 남는 아이디어라 한국에 도착해서 프로시딩 CD를 뜯고 가장 먼저 읽어보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 이야기하는 주 아이디어는 RFID tag coupling이다. RFID tag에는 고유한 아이디가 있을 것이다. RFID가 막 뜨기 시작할 때 많이 언급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물류가 있었는데, 모든 아이템에 태그가 붙어 있으면, 리더가 원거리에서도 사물을 읽을 수 있으므로, 태그마다 고유 아이디를 가지고 있다면 해당 물품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태그에 아이디는 MIT에서 제안한 Auto-ID 같은 것을 쓸 수 있겠다. 이 논문에서는 EPC ID라는 것을 언급했는데 96 bits라고 한다.
논문에서는 개별 사물의 인식이 아닌 그룹 구성원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맞춘다. 그룹 구성원의 변동이 없어야 하는 상황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생각외로 이렇게 시각을 바꿈으로써 적용해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아지더라.
여기까지 이야기를 들으면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태그들을 특정 시점에 모두 스캔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후에 체크하는 방식을 취하면 되겠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식당에 A, B, C, 세 가지 물건을 가지고 들어갔다면 식당은 이 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후에 나갈 때 A, B, C가 함께 나가는지 체크해주면 된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A, B, C가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식당에 들어올 때 한 명씩 시간 간격을 두고 들어와준다면 (나갈 때도 마찬가지) 구현 가능할 듯 하지만 불편함은 있다.
이 논문은 조금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그룹을 맺어야 하는 사물들이 미리 그룹을 형성한다. A, B, C, 세 가지 사물은 당연히 각자 자신들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여기에 더해서, 자신을 제외한 그룹 멤버들의 정보 또한 가지고 있자는 것이다. 즉, A의 경우 B와 C의 아이디를 저장하고 있으면 된다. 그런데 RFID의 메모리는 넉넉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512 bits 정도라고 하는데 아까 말했듯 식별 아이디 자체가 96 bits 정도이니 그룹 구성원의 수가 대여섯개가 넘어가기 시작하면 이 방식은 구현이 불가능하다. 영어 좀 쓰면 scalability 측면에서 좋지 못하다.
그래서 제안하는 방법은 해시를 이용하는 것이다. SHA-256을 사용했다고 한다. 자신을 포함한 모든 구성원의 아이디를 이용해 해시값을 얻는다. 모든 그룹 구성원이 같은 값을 얻게 될 것이다. 이것을 태그에 모두 저장해둔다. 이렇게되면 space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모든 태그가 2 * [the length of ID] 만큼의 공간만 있으면 된다.
이 방식을 사용해도 점검자(예를 들면 식당이나 공항의 출입구)가 체크를 할 때 어떤 범위로 태그 집합을 인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해시값 비교를 할 것인가는 여전히 어려운 문제다. A, B, C, 세 사물을 커플링해둔 상태에서 입구로 들어갔을 때, reader가 A, B만 인식했다면, 또는 타인의 사물인 D까지 포함해서 A, B, C, D, 네 개의 사물을 인식했다면 오류를 일으킬 것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대해 논문은 별다른 언급을 하진 않았지만, 후자의 경우는 D가 다른 해시값을 가지고 있을 것이니 쉽게 제외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방법이 없다.
논문은 태그를 읽는 방식을 soft, hard로 나누어서 구현 시 이슈로 언급하고 있다. 소프트는 차례로 태그들을 읽어가는 것을 말하며 하드는 - inventory read라고 불리는 - 하드웨어적으로 한 번에 여려 태그를 인식하는 방식을 말한다. 인식률면에서는 소프트가 좋다고 한다. 인벤토리 리드는 태그의 수가 많을 때 전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상당한 수의 태그를 놓치게 된다고 한다. 물론 인식 속도는 당연히 하드가 빠르다. 소프트는 순차적으로 모든 태그를 읽어야 하기 때문에 태그의 수에 비례하여 읽는 시간이 소요된다.
예전에 RFID tag에 대해 한참 이야기를 많이 할 때, 이를 이용하여 계산대에서 바로 계산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많이들 이야기 했었다. 카트를 전속력으로 밀고 계산대를 지나가버리면 몇 개 물품은 계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고 살짝은 농담 섞어 이야기들을 하곤 했는데, 아주 심각한 문제였다. 상용화가 되려면 이런 오류는 용납되지 않으니까. 이런 이야기를 한 것이 벌써 5~6년은 된 것 같은데 아직도 이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나보다.
논문을 읽다 궁금했던 점은 태그가 가지는 ID가 copy(clone)되는 일은 없을까 하는 것이다. 태그의 아이디는 쉽게 얻을 수 있는 값이므로 복사하여 바꿔치기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논문에서 이에 대한 언급은 없다.
또 하나 논문에서 언급한 것은 proxy fragment인데, 여기서 fragment는 커플링되는 개별 사물을 말한다. 프록시 프래그먼트는 실존하지 않는 사물에게도 아이디나 기타 다른 비트스트링을 부여하여 함께 해시값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자전거와 자전거 주인을 커플링할 수 있다. 누군가가 자전거 보관소에서 내 자전거를 훔쳐 자기 것인 듯 끌고 나갔을 때 자전거 보관소의 입구에서 내 자전거의 태그와 그 사람의 정보를 가지고 해시값 비교를 해볼 수 있다. 그 사람이 나인 척 impersonation에 성공하지 않는 이상 간단히 도둑질이 발각될 것이다.
아주 심플한 아이디어고 태그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도 필요없다.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측면에서도 나쁘지 않은 디자인이다. 태그 인식률과 속도가 개선되고 태그값이 복사되거나 스푸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면 심플하면서도 상당히 쓸모가 많은 아이디어가 아닌가 생각된다.
Pervasive Integrity Checking With Coupled Objects이번에 ANT 2011이라는 학회에 운 좋게 참석하게 되었다. 캐나다의 나이아가라 폴스에서 개최되는 학회라 나이아가라 폭포까지 감상할 수 있었다. 정말 운도 좋다. 심지어 학회장이 폭포가 보이는 거리에서 100미터 정도밖에 떨어지지 않은 거리.
Paul Couderc, et al.
INRIA Rennes, Compus Universitaire de Beaulieu, FRANCE
이 학회에서 위 논문의 발표를 들을 수 있었는데, 들었던 발표중 가장 기억에 남는 아이디어라 한국에 도착해서 프로시딩 CD를 뜯고 가장 먼저 읽어보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 이야기하는 주 아이디어는 RFID tag coupling이다. RFID tag에는 고유한 아이디가 있을 것이다. RFID가 막 뜨기 시작할 때 많이 언급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물류가 있었는데, 모든 아이템에 태그가 붙어 있으면, 리더가 원거리에서도 사물을 읽을 수 있으므로, 태그마다 고유 아이디를 가지고 있다면 해당 물품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태그에 아이디는 MIT에서 제안한 Auto-ID 같은 것을 쓸 수 있겠다. 이 논문에서는 EPC ID라는 것을 언급했는데 96 bits라고 한다.
논문에서는 개별 사물의 인식이 아닌 그룹 구성원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맞춘다. 그룹 구성원의 변동이 없어야 하는 상황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생각외로 이렇게 시각을 바꿈으로써 적용해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아지더라.
- 유치원 선생님이 박물관에 아이들을 데려갔다고 하자. 30~40명 정도를 데리고 다녀야 하는 경우 한 두 명이 이탈하는 것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아이들에게 태그를 모두 부착해두면 어떨까? 선생님이 쉽게 이탈자 여부를 파악할 수 있지 않을까?
- 식당과 같은 곳에 갔을 때 내가 가지고 들어갔던 사물들(핸드폰, 가방, 노트북, 지갑 등)을 식당 입구에서 체크해둔다. 내가 식당을 빠져나갈 때 '물건을 두고 나오셨습니다!'라고 알려줄 수 있다면 좋지 않을까? 식당보다 택시를 예로 든다면 더 좋겠다. 택시에 뭔가 떨어뜨리고 나오는 것은 생각만해도 아찔하지 않은가!
여기까지 이야기를 들으면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태그들을 특정 시점에 모두 스캔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후에 체크하는 방식을 취하면 되겠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식당에 A, B, C, 세 가지 물건을 가지고 들어갔다면 식당은 이 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후에 나갈 때 A, B, C가 함께 나가는지 체크해주면 된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A, B, C가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식당에 들어올 때 한 명씩 시간 간격을 두고 들어와준다면 (나갈 때도 마찬가지) 구현 가능할 듯 하지만 불편함은 있다.
이 논문은 조금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그룹을 맺어야 하는 사물들이 미리 그룹을 형성한다. A, B, C, 세 가지 사물은 당연히 각자 자신들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여기에 더해서, 자신을 제외한 그룹 멤버들의 정보 또한 가지고 있자는 것이다. 즉, A의 경우 B와 C의 아이디를 저장하고 있으면 된다. 그런데 RFID의 메모리는 넉넉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512 bits 정도라고 하는데 아까 말했듯 식별 아이디 자체가 96 bits 정도이니 그룹 구성원의 수가 대여섯개가 넘어가기 시작하면 이 방식은 구현이 불가능하다. 영어 좀 쓰면 scalability 측면에서 좋지 못하다.
그래서 제안하는 방법은 해시를 이용하는 것이다. SHA-256을 사용했다고 한다. 자신을 포함한 모든 구성원의 아이디를 이용해 해시값을 얻는다. 모든 그룹 구성원이 같은 값을 얻게 될 것이다. 이것을 태그에 모두 저장해둔다. 이렇게되면 space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모든 태그가 2 * [the length of ID] 만큼의 공간만 있으면 된다.
이 방식을 사용해도 점검자(예를 들면 식당이나 공항의 출입구)가 체크를 할 때 어떤 범위로 태그 집합을 인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해시값 비교를 할 것인가는 여전히 어려운 문제다. A, B, C, 세 사물을 커플링해둔 상태에서 입구로 들어갔을 때, reader가 A, B만 인식했다면, 또는 타인의 사물인 D까지 포함해서 A, B, C, D, 네 개의 사물을 인식했다면 오류를 일으킬 것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대해 논문은 별다른 언급을 하진 않았지만, 후자의 경우는 D가 다른 해시값을 가지고 있을 것이니 쉽게 제외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방법이 없다.
논문은 태그를 읽는 방식을 soft, hard로 나누어서 구현 시 이슈로 언급하고 있다. 소프트는 차례로 태그들을 읽어가는 것을 말하며 하드는 - inventory read라고 불리는 - 하드웨어적으로 한 번에 여려 태그를 인식하는 방식을 말한다. 인식률면에서는 소프트가 좋다고 한다. 인벤토리 리드는 태그의 수가 많을 때 전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상당한 수의 태그를 놓치게 된다고 한다. 물론 인식 속도는 당연히 하드가 빠르다. 소프트는 순차적으로 모든 태그를 읽어야 하기 때문에 태그의 수에 비례하여 읽는 시간이 소요된다.
예전에 RFID tag에 대해 한참 이야기를 많이 할 때, 이를 이용하여 계산대에서 바로 계산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많이들 이야기 했었다. 카트를 전속력으로 밀고 계산대를 지나가버리면 몇 개 물품은 계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고 살짝은 농담 섞어 이야기들을 하곤 했는데, 아주 심각한 문제였다. 상용화가 되려면 이런 오류는 용납되지 않으니까. 이런 이야기를 한 것이 벌써 5~6년은 된 것 같은데 아직도 이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나보다.
논문을 읽다 궁금했던 점은 태그가 가지는 ID가 copy(clone)되는 일은 없을까 하는 것이다. 태그의 아이디는 쉽게 얻을 수 있는 값이므로 복사하여 바꿔치기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논문에서 이에 대한 언급은 없다.
또 하나 논문에서 언급한 것은 proxy fragment인데, 여기서 fragment는 커플링되는 개별 사물을 말한다. 프록시 프래그먼트는 실존하지 않는 사물에게도 아이디나 기타 다른 비트스트링을 부여하여 함께 해시값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자전거와 자전거 주인을 커플링할 수 있다. 누군가가 자전거 보관소에서 내 자전거를 훔쳐 자기 것인 듯 끌고 나갔을 때 자전거 보관소의 입구에서 내 자전거의 태그와 그 사람의 정보를 가지고 해시값 비교를 해볼 수 있다. 그 사람이 나인 척 impersonation에 성공하지 않는 이상 간단히 도둑질이 발각될 것이다.
아주 심플한 아이디어고 태그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도 필요없다.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측면에서도 나쁘지 않은 디자인이다. 태그 인식률과 속도가 개선되고 태그값이 복사되거나 스푸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면 심플하면서도 상당히 쓸모가 많은 아이디어가 아닌가 생각된다.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C 어플리케이션 (0) | 2011.10.14 |
---|---|
물건 분실을 파악하는 좋은 방법? (0) | 2011.10.14 |
가장 비싼 1바이트의 실수 (0) | 2011.10.14 |
HSTS: 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 (0) | 2011.10.14 |
DigiNotar의 구라 인증서에 대한 대처 (0) | 2011.10.14 |